[선현의 소리] 有天地自然之聲 유천지자연지성 -함용남 기자

생활/문화 뉴스


[선현의 소리] 有天地自然之聲 유천지자연지성 -함용남 기자

최고관리자 기사등록일 :
[선현의 소리] 有天地自然之聲 유천지자연지성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유천지자연지성, 칙필유천지자연지문. 천지자연에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자연에 문장이 있어야 한다. 所以古人因聲制字, 以通萬物之情, 소이고인인성제자, 이통만물지정, 옛 사람들이 소리에 따라 글자를 제정한 이유는 만물의 정을 통하게 하고, 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이재삼재지도, 이후세불능역야. 삼재의 도를 실어 후세에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然四方風土區別, 聲氣亦隨而異焉. 연사방풍토구별, 성기역수이이언. 그러나 사방의 풍토가 구역마다 다르고, 소리와 기세 또한 지역에 따라 다르다. 蓋外國之語, 有其聲而無其字. 개외국지어, 유기성이무기자. 대개 외국의 말은 소리는 있으나 글자는 없었다. 假中國之字以通其用,
가중국지자이통기용, 가령 중국의 글자로 쓰임을 통하려 한다면, 是猶枘鑿之鉏鋙也, 시유예착지서어야, 그것은 마치 둥근 구멍에 네모난 자루를 억지로 끼우게 하여 어긋나는 것과 같으니
豈能達而無礙乎. 개능달이무애호. 어찌 전달할 수 있으며 막히지 않을 수 있겠는가?

要皆各隨所處而安, 요개각수소처이안, 그러니 요약하여 말하면 각각 그 처한 곳에 따라 편안히 해야 하는 것이지, 不可强之使同也. 불가강지사동야. 억지로 똑같게 할 수는 없다는 말이다.

이상은 정인지의 훈민정음서訓民正音序의 앞부분이다. 훈민정음을 짓게 된 이유와 훈민정음의 가치에 대한 것이다. 以載三才之道 이재삼재지도에서 天ㆍ地ㆍ人 삼재를 언급한 것은 한글의 모음이 삼재의 구성원리에 의해 지어졌기 때문이다. 是猶枘鑿之鉏鋙也 시유예착지서어야에서 예착枘鑿은 方枘圓鑿방예원착의 줄임말이다. 즉 각이 진 자루는 둥근 구멍에 끼우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와 함께 훈민정음서에서는 문자를 한자와 이두로 쓸 때의 문제점을 언급했다. “우리 동방의 예약과 문장은 중화를 본떴다. 그러나 다만 사투리와 비속어만 같지가 않았던 것이다. 글을 배우는 사람이라면 취지가 이해하기 어려움을 근심했고, 재판관은 이러저러한 복잡한 사정이 통하기 어려움을 아파했다. 신라의 설총이 처음으로 이두를 만들어 관공서와 민간에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 문자를 빌려 사용했기 때문에, 혹은 껄끄럽고 혹은 막혀서 소견이 좁아 헤아리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언어를 사용하는 순간에 이르면 1/10000도 전달되지가 않았던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아울러 들리는 모든 소리를 담을 수 있고 쉽게 배울 수 있는 한글의 위대성을 나타냈다. “계해년인 1443년 겨울에 우리의 천하께서 정음 28자를 창제하셨고 『훈민정음』이라 이름 지으셨다. 형상을 본떴고 글자체는 고전(古篆)을 모방하였으며, 나오는 소리를 따라 음은 칠조에 합하였으니, 천天ㆍ지地ㆍ인人 삼극의 뜻과 음陰ㆍ양陽 두 기운의 묘함이 포괄되지 않음이 없었다. 28개의 글자로 전환하면 무궁해져서 간단하면서도 요점이 있고 정밀하면서 통하게 되니,이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이라면 아침이 마치기 전에 이해되며, 어리석은 이라면 열흘이면 충분히 배울 수 있다. 한글로 글을 해석하면 뜻을 알 수 있고 한글로 송사의 내용을 들으면 그 속뜻을 터득할 수 있다. 그리고 글자와 운에 있어선 맑고 흐림을 분별할 수 있고, 음악에 있어선 율려를 화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함에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고, 어디를 가든 전달되지 않음이 없어, 비록 바람소리와 학 우는 소리, 닭소리, 개 짓는 소리 모두 얻어 쓸 수 있게 됐다.”고 극찬했다.